본문 바로가기

그린마더스클럽을 보며 뮤즈가 궁금해졌다. 뮤즈의 뜻과 어원 그리고 신화

by 우공이부 2022. 4. 23.

뮤즈의 어원, 뮤즈의 기원 고대 그리스의 9 여신, 유명한 창작들의 뮤즈

출처 픽사베이

 

어제는 그린마더스 클럽 4회에 나오는 모딜리아니의 뮤즈 잔 에뷔테른에 대한 글을 썼다.

그 글을 쓰면서 뮤즈에 대한 어원이 궁금해졌고 이 단어가 현대사회에서는 어떤 의미로 쓰이는지도 궁금했다.

 

그린마더스 클럽에 출연한 김규리는 서진하라는 역을 맡았는데 극 중 진하는 명성이 있는 화가라는 설정이다.

진하는 자신의 예술 세계를  취재하러 온  작가이며 감독에게 예술가의 인생을 이야기하다 모디리아니의 뮤즈에 대해 언급하며 자신의 전문적인 커리어를 높이는 장면이 나왔었다.

 

우리가 요즘 쉽게 쓰는 '뮤즈' 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예술적 영감이나 학문적 재능을 의미하며, 작가나 화가에게 영감을 불어넣는 존재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이런 점을 조금 확대 해석을 하다 보면 단순히 영감을 받는 것이 아니라 이 사람을 본받고 싶어 하는 일종의 멘토의 개념으로 확대될 수도 있을 것이다. 

 

뮤즈라는 단어를 검색해보면 무사라는 단어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것을 발견할 수 있다. 무사는 고대 그리스어로 복수로 쓰일 때는 무사이라고 하고 영어로는 Muse라고 하는데 이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음악과 시를 관장하는 아홉 명의 여신을 지칭하는 말이라고 한다.

이 여신들이 예술가들의 예술 활동에 영감을 주고 자신들을 통해서 공연과 창조의 과정을 생각해낼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했다고 한다. 

여기까지만 봐도 지금 우리가 알고있는 뮤즈(Muse)라는 단어의 뜻과 일맥상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사라는 고대 그리스어로 불리던 이 여신들은 그 숫자의 변화도 참 재밌는데 본래는 그 수가 세 명이었는데 어느 순간 일곱 명으로 늘었고 후에 시인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서 제우스와 기억의 여신 므네모시네 사이에서 태어난 아홉 명의 여신들로 생각되었다고 한다.

더 자세한 이야기는 위키백과를 참조 하시길 바란다.

 

무사 또는 뮤즈로 불리던 9여신

  • 멜포메네(Melpomene, 노래)- 비극의 뮤즈
  • 에라토(ERATO, 사랑스러움) - 독창의 뮤즈
  • 에우테르페(Euterpe, 기쁨)- 서정시의 뮤즈
  • 우라니아(Urania, 하늘)- 천문의 뮤즈
  • 칼리오페(Kalliope, 아름다운 음성)-서사시의 뮤즈
  • 클레이오(Kleio, 명성)- 역사의 뮤즈
  • 탈리아(Thalia, 풍요와 환성)- 희극의 뮤즈
  • 테르프시코레(Terpsichore, 춤의 기쁨)- 합창, 가무의 뮤즈
  • 프리힘니아(Polyhymmnia, 많은 노래) - 찬가의 뮤즈

세계적으로 알려진 유명한 창작자들의 뮤즈

  • 구스타프 말러 -알마 말러
  • 로베르트 슈만 - 클라라 슈만
  • 에드바르 그리그 - 니나 그리그
  • 에릭 사티 - 쉬잔 발라동
  • 단테 - 베아트리체
  • 페리클레스 - 아스파시아
  • 엔디 워흘 - 에디 세즈윅 

기회가 되면 위에 나열한 창작자들과 뮤즈의 인생과 작품 세계 관등을 한번 알아보고 포스팅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